메뉴 건너뛰기

사회주택 이야기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영리법인 등 다채로운 조직들이 사회주택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사회주택에 각기 다른 동기로 입주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회주택 현장, 함께 사는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따뜻한 생활 여건, 입주 희망 이유

 

사회주택명 : 가락동 사회적주택

  운영기관명 : 협동조합 큰바위얼굴

작 성 자 : 백진화

 

  안녕하십니까, 저는 현재 큰바위얼굴 주택협동조합에서 운영 중인 금강빌리지에서 살고 있습니다.

  본가는 경상도에 있지만 직장을 서울로 잡아 혼자 서울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가장 먼저 집 걱정이 컸습니다. 전세사기 문제도 뉴스에 많이 나오고, 부모님 손 벌리지 않고 혼자서 경제적으로 자립하여 살 집을 찾는 것이 우선이었습니다. 저의 직장이 있는 강남에서 가까운 곳이면서 저렴한 곳으로 집을 이사하고 싶은 마음이 컸습니다.

  평소에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사회적 주택에 대해 좋은 마음이 있어, 여러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사회적 주택을 살펴보던 중 큰바위얼굴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금강빌리지 사회적 주택을 알게 되었습니다. 보증금 중 일부는 부모님께서도 도와주시지만 모든 보증금에 손을 벌리기에 부담스러운 부분이 많아 여러 방도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 중에 한국타이어나눔재단의 지원을 통해 조성된 따뜻한 사회주택기금이라는 곳을 알게 되어 이곳에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보증금을 한 번에 마련하기에 경제적 부담이 있는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주거 사고 위험, 주거 안정성의 측면에서 사회적 주택에서 사는 것이 너무 좋고 안정되어 여기서 남은 기간 동안 최대로 살고 싶은 희망이 있습니다. 사람들과 같이 협동하여 생활하는 것이 좋고, 심적으로 의지도 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제가 혼자 살아서 그런지, 모르는 사람이 이웃이 되어 옆에 살고 있다는 것의 불안감이 컸습니다. 그러나 이곳은 옆집에 사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고, 단톡방도 있어서 주거 안정성이 정말 마음에 들었습니다. 잠재적 범죄 발생에 대한 불안함이나 공포를 줄이고 살 수 있어 이게 사회적 주택에 살고 싶은 가장 큰 이유입니다.

  또 저렴한 월세로 기존 시세보다 큰 평수에 살지만 전세사기의 위험부담도 거의 없습니다. 서로 집사 역할, 시설역할, 회계역할 등을 나누어 맡아가면서 자치 운영을 하고, 상의가 필요한 부분은 매월 주기적으로 반상회를 열어 논의하다 보니 지금 살고 있는 곳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어 지낼 수 있었습니다. 청년 1인가구를 위해 금전적으로든 심적으로든 힘써주셔서 정말 정말 감사한 마음이 듭니다. 감사한 마음으로 잘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목 없음.png

 

- 본 글은 '사회주택 입주민 지원사업'에 참여해주신 입주민께서 작성해주신 글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 따사로이 포커스 '우선 집부터, 파리의 사회주택'을 읽고(한빛나 팀장)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1.03.24 669
178 입주민 이야기 '함께'가 만든 풍경을 보여주는 곳, 달팽이집(김가원님)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2.05.24 160
177 따사로이 포커스 1인 가구의 시대(한빛나)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1.11.02 370
176 따사로이 포커스 2021년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지원사업을 돌아보며.(한빛나)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2.02.15 208
175 입주민 이야기 2번째 서울살이(손수진님)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0.08.13 631
174 [Special Interview] 네 번째 이야기, 청년누리 입주민, “모든 음식에 바탕이 되는 소금과 같은 기금” file 관리자 2020.03.31 504
173 [Special Interview] 다섯 번째, (사)나눔과미래 송경용 이사장, “행복을 선물하는 기금” file 관리자 2020.03.31 527
172 [Special Interview] 두 번째 이야기, 마을과집협동조합 최용완 실장, “꿈을 실현하게 하는 기금” file 관리자 2020.03.31 687
171 [Special Interview] 마지막 이야기, 한국타이어나눔재단 강혁 사무국장, “청년세대의 무게를 짊어지는 기금” file 관리자 2020.03.31 590
170 [Special Interview] 세 번째 이야기, 주식회사 녹색친구들 이주현 본부장, “따뜻한사회주택기금이 없다면, 사업 추진이 불가능합니다.” file 관리자 2020.03.31 614
169 [Special Interview] 첫 번째 이야기, 민달팽이주택협동조합 이한솔 이사장, “낮지만 튼튼한 허들, 초기 진입 장벽을 낮추는 기금” file 관리자 2020.03.31 633
168 사회주택동향 [도시읽기] 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좋은 집에 살게 됐을까? 관리자 2020.03.30 569
167 따뜻한 탐방 [따뜻한 탐방] '에어스페이스 신림2호점을 방문하고'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0.07.31 694
166 따뜻한 탐방 [따뜻한 탐방] 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건축요소로 구현되고 있는 사회주택,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 화곡점 file 따뜻한사회주택기금 2020.05.29 854
165 따뜻한 탐방 [따뜻한 탐방] 청년 공유주택 ‘공가’ 9호의 특별한 저녁식사 file 관리자 2018.07.30 1245
164 따뜻한 탐방 [따뜻한 탐방] 혼자가 아니었네…청년들이 모여 만든 ‘두더지하우스’ file 관리자 2018.10.02 1162
163 따사로이 포커스 [따사로이 포커스 19-1호] "사회주택의 위기와 새로운 기회" file 관리자 2019.11.05 945
162 따사로이 포커스 [따사로이 포커스 19-2호] "황금알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지 말자" file 관리자 2019.11.05 930
161 따사로이 포커스 [따사로이 포커스 19-3호] "공간의 설렘." file 관리자 2019.11.08 858
160 따사로이 포커스 [따사로이 포커스 19-4호] "사회적주택, 사회적금융이 청년을 위해 만나다" file 관리자 2019.12.13 10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2013 KSODESIGN.All Rights Reserved